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창원시 제1선거구

덤프버전 :

||
파일:창원시_제1선거구8.png
선거인 수57,295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의창구 일부
동읍, 북면, 대산면
신설년도1998년
이전 선거구창원시 제5선거구
도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서민호 (초선)




1. 개요[편집]


경상남도의회의 순서상 맨 첫번째로 선거구로 나오는 도의원 선거구로 구 창원 지역의 읍면 지역을 관할한다.

원래는 일반적인 읍면 지역과 비슷하게 국민의힘 초강세 지역이였으나, 동읍북면에 택지지구가 형성되고 있어 의창구 안에서는 보수세가 옅은 지역구가 되었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창원시 제5선거구
제5대박한석
무소속
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1]
창원시 제1선거구
제6대박한석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2]
제7대김충관2002년 7월 1일 ~ 2004년 4월 28일[3]
이교희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4년 6월 6일 ~ 2006년 6월 30일
제8대김상하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
제9대강종기2010년 7월 1일 ~ 2013년 3월 22일[4][5]
제10대장동화
ta-hash-start=w-0f8adb83a042059c41c46e2e93506d4b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
제11대김석규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제12대서민호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[6]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5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손용택(孫龍澤)5,8512위

ta-hash-start=w-bc3791799824291616498be91ff76f80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27.41%낙선
2박재복(朴載福)1,5304위

무소속

7.16%낙선
3박한석(朴漢碩)8,4301위

무소속

39.49%당선
4황희규(朴載福)5,5343위

무소속

25.92%낙선
선거인 수28,140투표율
79.24%
투표 수22,300
무효표 수955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, 팔룡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한석(朴漢碩)25,760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8.63%당선
2김광택(金光澤)3,7903위

ta-hash-start=w-005d3d22fd7a12a24a9bf06b7359a027[[파일: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.svg
8.62%낙선
4정세영(丁世永)14,3852위

무소속

32.74%낙선
선거인 수79,748투표율
56.64%
투표 수45,174
무효표 수1,239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, 팔룡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충관(金忠관)24,625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2.93%당선
3박한석(朴漢碩)16,5292위

무소속

35.53%낙선
4안성숙(安聖淑)5,3663위

무소속

11.53%낙선
선거인 수91,452투표율
52.53%
투표 수48,046
무효표 수1,526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, 팔룡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김상하(金尙河)31,873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63.91%당선
4김종환(金鍾煥)17,9982위

ta-hash-start=w-980a502f72c745d7d2792e20bf6bf6d7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36.08%낙선
선거인 수95,851투표율
53.15%
투표 수50,948
무효표 수1,077

2.5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강종기(姜鍾基)21,2351위
57.18%당선
5김석규(金碩奎)15,8962위
42.81%낙선
선거인 수63,220투표율
60.96%
투표 수38,542
무효표 수1,411

2.6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장동화(張東和)25,9161위
67.64%당선
4김부관(金富棺)12,3982위
32.35%낙선
선거인 수69,576투표율
56.92%
투표 수39,608
무효표 수1,294

2.7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석규(金碩奎)28,7241위
53.52%당선
2장동화(張東和)24,9402위
46.47%낙선
선거인 수85,095투표율
64.58%
투표 수54,962
무효표 수1,298

2.8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창원시 제1선거구
동읍, 북면, 대산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석규(金碩奎)10,6542위
37.22%낙선
2서민호(徐民鎬)17,9671위
62.77%당선
선거인 수57,295투표율
51.16%
투표 수29,315
무효표 수694
이번 선거부터 의창동창원시 제2선거구로 이동하였다. 이로써 이 선거구에는 읍면 지역만 남게된다.

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직 도의원인 김석규 후보가 유일하게 출마를 하였고 단수공천을 했다.

국민의힘에서는 서민호 창원시벤처농업인협회장을 단수공천하였다.

진보정당이나 다른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양당의 1:1구도로 치러진다.

선거 결과 경남의 여느 지역구와 비슷하게 국민의힘 서민호 후보가 여유롭게 승리를 거뒀다. 가장 인구가 적고 낙후된 대산면에서 66% 가량을 얻으며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고, 도시개발이 되어가고 있는 동읍북면에서도 각각 61.6%, 63.2%로 모든 곳에서 60% 넘는 득표율로 압도적인 격차를 만들었다. 다만 의창구를 관할하는 세 지역구 중 민주당이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린 지역이 되면서 북면과 동읍의 보수세 약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.



[1] 동읍, 북면, 대산면[2] 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, 팔룡동[3] 2004년 상반기 재보선 창원시장 재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4] 사기 혐의로 구속된 상태에서 사퇴하였다. 보궐선거 기간을 지난 관계로 보궐선거는 성사되지 않았다.[5] 동읍, 북면, 대산면, 의창동[6] 동읍, 북면, 대산면